3학년 2학기 전공/풀스택서비스프로그래밍
                
              [풀스택서비스프로그래밍] Lecture 02. RESTful API Client & Server 개발
                시데브
                 2024. 10. 1. 16:52
              
              
            
            경희대학교 이성원 교수님의 풀스택 서비스 프로그래밍 수업을 기반으로 정리한 글입니다.
HTTP 프로토콜 이해하기
1. HTTP Request (Methods) & Response
- HTTP Methods

- GET: server에서 client에게 resource(HTML/CSS/JS, 이미지, 동영상 등)를 전송
 - PUT: client로부터 전달받은 data를 server에 저장
 - DELETE: server에서 resource를 삭제
 - POST: server gateway application으로 data를 전송
 
- HTTP Response
- HTTP status code 200: Document returned correctly
 - HTTP status code 302: Redirect
 - HTTP status code 404: Not Found -> can't find the resource
 
- HTTP Request & Response 예시

2. HTTP GET
- 가장 일반적인 method
 - server에 resource를 보내줄 것을 요청
 

3. HTTP PUT
- server의 data를 update
 - 많은 server가 PUT을 수행하기 이전 password를 필요로 함
 

4. HTTP POST
- input data를 서버에 전송
 

5. HTTP DELETE
- request URL에 의해 특정된 resource를 server에서 삭제 요청
 

JSON 활용하기
1. JavaScript Object Notation
- JS의 data 표현 방식 -> 다른 언어에 확산
 - web browser는 js 번역기를 내장 -> 웹 서비스에 유리
 - 문자열로 이루어져 있으며, JSON 객체로 변환 가능
 - 확장자 .json과 타입 application/json 사용이 활용
 - 무상태, 실시간 server 대 browser 통신 protocol로 많이 활용
 - 기본적인 programming language의 data 형태를 지원
- 정수, 실수(고정/부동 소수점), 문자열
 - 배열: [ a, b, c ]
 - 객체: { "member1" : "value", "member2" : "value2" }
 
 - 순수한 "data format" -> method 표현 불가
 - 문자열과 property 이름 작성 시에 큰 따옴표만을 사용
 
2. JSON example

RESTful API 구현을 위한 CRUD 방법론
-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웹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처리하는 방법을 정의하는 철학
 - RESTful API: REST 철학을 어떻게 실행할 것인지를 정의하는 구현 가능 규격
 
1. RESTful API 구현을 위한 CRUD 방법론
- JSON 포맷으로 데이터 교환
 - 통상 CRUD로 불리는 원칙에 따라 HTTP method 사용
- Create: POST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생성
 - Read: GET을 사용하여 정보를 읽음
 - Update: PUT을 사용하여 이미 만들어진 정보를 수정
 - Delete: DELETE를 사용하여 이미 만들어진 정보를 삭제
 
 - 웹 주소(URL)를 /{기능 이름}/{Key 값}의 형태로 작성 -> 서버가 제공하는 기능 중 특정 기능을 요청 -> 기능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Key에 의해 식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