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SYDev

[컴퓨터 네트워크] 5주차: 라우팅 개념과 정적 라우팅 구성 본문

3학년 1학기 전공/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네트워크] 5주차: 라우팅 개념과 정적 라우팅 구성

시데브 2024. 4. 9. 22:12
경희대학교 유인태 교수님의 컴퓨터네트워크 수업을 기반으로 정리한 글입니다.

 

 

라우팅 개념과 정적 라우팅 구성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Distant Vector Routing Protocol)

  • 라우팅 테이블을 자신과 직접 연결된 장치들에 전송한다.
  • 네트워크의 변화가 없어도 무조건 라우팅 정보의 전송이 이뤄진다. -> 네트워크 규모가 커지면 업데이트 양이 증가하는 단점.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
  • 토폴로지가 커지면 수렴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음 -> 수렴(convergence) 동일한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라우터들이 같은 라우팅 정보를 가지게 되는 상태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Link State Routing Protocol)

  • 다익스트라(Dijkstra) 혹은 최단 경로 우선(SPF; Shortest Path First) 알고리즘 사용
  • 각 라우터에 직접 연결된 링크 정보를 동일한 네트워크 상의 모든 라우터에 전송 -> 이를 위해 LSP(Link State Packet) 생성
  • LSP 정보를 받으면 링크 상태 정보를 판단하여 최단 경로 생성 -> 임의의 한 라우터가 네트워크 전체에 대한 토폴로지 파악 -> 최적 경로 계산(lowest cost)
  • 모든 네트워크 링크는 cost 값을 가지며, 이 값이 가장 작게 나오는 경로 선택

 

라우터/스위치

  • 라우터, 스위치,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네트워킹 장치는 IOS(Internetwork Operation System)를 사용한다. -> 시스코 시스템의 운영체제이자 시스템 소프트웨어
  • 라우터와 스위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또는 CLI(Command Line Interface)의 두 가지 모드를 통해서 설정할 수 있다.

Startup-config

  • NVRAM에 저장되어 있는 설정 파일, 장치가 재부팅할 때 적용

Running-config

  • RAM에 있는 라우터 또는 스위치의 설정 내용, NVRAM으로 옮기지 않고 장치를 재부팅하거나 전원이 꺼지면 모든 내용은 삭제됨

Running-config의 Startup-config로의 저장

  •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또는 wr 명령어를 사용하여 저장

 

  1. 라우터나 스위치의 전원을 켜면 POST(Power On Self Test)를 실시하여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
  2. 이상 없으면 ROM에 있는 Bootstrap(Booting loader)를 RAM으로 옮긴다.
  3. Bootloader가 FLASH에 위치해 있는 IOS를 RAM으로 옮긴다.
  4. RAM에 있는 IOS를 실행하여 부팅한 후, NVRAM에 있는 설정 파일을 적용한다.
  5. 설정 파일이 없으면, 아무것도 설정이 안 된 디폴트 상태로 부팅된다.

rommon mode

  1. FLASH에 IOS가 없거나 손상되었을 경우 -> ROM에 있는 Subset IOS를 실행하여 rommon 모드로 부팅
  2. IOS를 업데이트하거나 암호를 잃어버렸을 경우, 강제로 진입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라우터/스위치의 세 가지 기본 모드

 

라우터 기본 설정

  • 호스트 이름 변경: 라우터 초기 이름은 "Router", hostname 명령어를 사용하여 변경
  • 암호 설정
  • 콘솔 암호: 사용자 모드로 들어가기 전에 물어보는 암호
  • enable 암호: 사용자 실행 모드에서 특권 실행 모드로 이동 시 필요한 암호
  • enable secret: enable 암호와 같으나, 암호가 암호화 되어서 저장
Router(config)#line console 0
Router(config-line)#password 1111
Router(config-line)#login

Router(config)#enable password cisco

Router(config)#enable secret cisco

 

  • 라우터 IP 주소 설정(이더넷 인터페이스일 경우)
interface gi0/0
ip address (ip주소) (서브넷마스크)
no shutdown
  • 라우터 IP 주소 설정(시리얼 인터페이스일 경우)
interface serial0/2/0
ip address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clock rate 56000
no shut
  • 텔넷 접속 설정
conf t
line vty 0 4
password cisco
login
exit

 -> line vty: 세션을 5개 열어놔서 최대 5명까지 텔넷으로 원격 접속 가능 

https://www.linux.co.kr/bbs/board.php?bo_table=lecture&wr_id=2587

 

라우터 원격접근 제한(remote access control) > 강좌 | 클라우드포털

11.1.2 라우터 원격접근 제한(remote access control) 암호를 어렵게 설정하였다 하더라도 어떠한 경로든 암호를 알게 되거나 또는 무작위 대입으로 암호를 알 수 있으므로 단순히 암호를 어렵게 설정하

www.linux.co.kr

정적 라우팅 프로토콜

  •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기반으로 모든 경로를 직접 수동으로 설정 -> 네트워크 동적인 상태 변화에 유동적으로 대처하기 어려움
  •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사용
  • 설정 방법 간단, 라우터의 자원을 적게 사용

 

-> 203.230.7.0/24 서브넷팅 과정

시스코 웹엑스로 직접 구현한 토폴로지

-> pc와 라우터가 인터페이스 표준이 동일: 1번 2번, 4번 6번 포트가 각각 수신, 송신으로 쓰인다는 인터페이스 표준이 동일 -> 크로스오버 케이블을 사용해야 함 -> 요즘은 Auto MDI-X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관없을수도

-> pc와 라우터 각 포트(interface)의 ip주소부터 , 라우터의 각 네트워크에 대한 라우팅 설정, pc의 디폴트 게이트웨이까지 수동으로 설정해줘야 함

 

+서브넷 마스크 32가 아니라 30! 오타임..

 

-> pc1에서 pc2까지 ping 테스트가 정상적으로 작동

 

-> router0에서 router1에 텔넷으로 접속해, pc1에 ping test에 성공

 

Default Static

  • 패킷의 출입 경로가 하나밖에 없는 네트워크(stub network)에 적용할 수 있다. -> 라우팅 테이블에 없는 네트워크로 가려면 그냥 여기로 가라!!
  • ip route 0.0.0.0 0.0.0.0 [exit-interface | ip-address]
  • Default Static 경로는 라우팅 테이블에서 "S*"코드로 표시

 

DCE와 DTE

  • DTE(Data Terminal Equipment): 사용자-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사용자 측에서 데이터 발신 장치나 수신 장치, 또는 두 가지 겸용으로 사용되는 장치
  • DCE(Data Communications Equipment): 사용자-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네트워크 측으로 구성되는 통신 네트워크 장비의 연결 수단
  • DCE장치와 DTE장치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동기화시키는 데 사용되는 클럭 신호를 DCE에서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