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오블완
- supervised learning
- 지도학습
- regression
- deep learning
- Classification
- 분류
- 머신러닝
- OpenAI
- LLM
- gpt
- 회귀
- 해커톤
- ChatGPT
- AI
- LG Aimers
- PCA
- LG Aimers 4th
- LG
- Machine Learning
- 티스토리챌린지
- GPT-4
- 딥러닝
Archives
- Today
- Total
SYDev
[Docker & Kubernetes] Port Forwarding이란? 본문
Port Forwarding
-> 웹 페이지에서 127.0.0.1:8000을 입력하면 PortForwarding에 의해서 Django container가 실행되고 있는 10.0.2.4:8000에 맵핑된다고 한다. -> 그렇다면 PortForwarding은 뭘까?
Public, Private, Outside, Inside IP Address
- IP(Internet Protocol) Address: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소
- Public(공인) IP address: 외부에 공개되어 있는 IP 주소,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에서 할당하고 전 세계에서 유일한 IP 주소를 가짐
- Private(사설) IP address: LAN 내부에서 통신할 때 사용하는 IP 주소, 다른 LAN에서는 같은 IP 주소가 중복될 수 있음
- Public IP address가 도로명 주소라면, Private IP address는 집 내부의 안방, 주방 같은 포지션
- Outside(외부) IP address: 상대적인 개념으로, 기기가 현재 포함된 네트워크의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할 때 사용하는 주소
- Inside(내부) IP address: 기기가 현재 포함된 네트워크 내부에서 사용하는 주소
- 대부분의 경우 outside ip address와 public ip address가 같지만, 엄연히 둘은 다른 개념
- 별도의 네트워크를 설정하지 않은 가상머신의 경우 -> 가상머신의 outside ip address는 가상머신을 구동하는 PC의 inside ip address를 가짐(가상머신의 외부 네트워크는 가상머신을 구동하는 PC이기 때문)
별도의 설정 없이 outside IP address만으로 특정 네트워크에 접속을 시도
-> 내부에 어떤 프로세스 혹은 기기와 연결할지 알 수 없음 -> 접근이 불가능
-> 이때 필요한 것이 PortForwarding
PortForwarding
- PortForwarding: 외부 IP address : 포트번호와 내부 IP : 포트번호를 연결해주는 기능
- 특정 포트로 들어오는 데이터 패킷을 다른 포트로 바꿔서 다시 전송해주는 작업
-> 이런 포트 포워딩에 의해서 Client와 Docker host의 각 컨테이너끼리 통신이 가능해짐
참고자료
[용어 정리] Public IP, Private IP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public IP와 private IP가 할당이 됩니다. Public IP Public IP 주소는 네트워크 외부와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IP 주소입니다. Public IP 주소는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에서 할당하고,
hanjustudy.tistory.com
'포트 포워딩' 왜 하는 걸까? 🌐
모르고 쓰던 포트 포워딩! 왜 하는 걸까?
velog.io
포트포워딩: 포트포워딩의 정의와 설정 방법
포트포워딩(Port forwarding)은 속도를 개선해주는 등의 장점이 있지만, 동시에 보안 리스크도 따라옵니다. 포트포워딩의 정의와 포트포워딩 설정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 NordVPN에서 포트포워딩을
nordvpn.com
'KHUDA 6th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핸즈온 AWS] Chapter 5. AWS 스토리지 서비스 (0) | 2024.08.07 |
---|---|
[핸즈온 AWS] Chapter 4. AWS 부하분산 서비스 (0) | 2024.08.07 |
[Docker & Kubernetes] 3주차 정리 (2) - Chapter 6. 도커를 활용한 Flask 실행 (0) | 2024.08.05 |
[Docker & Kubernetes] 3주차 정리 (1) (0) | 2024.08.05 |
[핸즈온 AWS] 1주차 실습 (0) | 2024.07.31 |